
대뇌의 개념과 구조
대뇌 또는 큰골, 끝 뇌, 중뇌는 뇌의 일부로 대뇌 좌우 반구의 대뇌피질과 피질 밑 구조(기저핵 포함하는 영역이다. 사람에게 대뇌는 중추신경계의 가장 상위 영역이다. 운동, 감각, 감정, 언어, 기억 및 판단 등 고등 정신 기능을 한다. 대뇌 또는 전뇌를 끝 뇌로 언급하는 경우는 개체 발생학적으로 배아의 발생 과정에서 대뇌가 후 뇌와 중뇌의 발생 및 발달단계에 이어 최종 단계에서 발현하는 구조에 기원한다. 포유동물의 등 쪽 끝 뇌 혹은 건질 은 대뇌피질이 되고, 배 쪽 끝뇌 혹은 아래 건질 은 기저핵이 된다. 대뇌는 거의 대칭적인 좌우 반구로 나뉜다. 대뇌는 소뇌의 도움을 받아 신체의 수의적인 활동을 통제한다. 대뇌의 구조로는 대뇌피질 혹은 각 반구의 피질, 대뇌의 내부구조, 대뇌의 하부구조: 기저핵, 변연계가 있다 대뇌는 뇌에 가장 큰 부분이다. 뇌줄기의 꼭대기나 앞에 있으며 사람에게는 뇌에서 가장 크고 발달한 부분이다. 대뇌는 계통학적으로 가장 나중에 발달한 구조로 포유류가 다른 종에 비하여 가장 크고 잘 발달한 대뇌를 갖는다. 포유류에게만 대뇌 피질이 있다. 큰 포유류의 경우에 대뇌 피질은 많은 고랑(뇌고, sulcus)과 이랑(뇌되, gyrus)으로 이루어져 있어 부피 대비 표면적을 늘렸다. 사람의 경우 대뇌는 진화적으로 오래된 부위를 감싸고 있다. 변연계, 후 각계, 운동계는 대뇌에서 뇌줄기와 척수로 신경섬유를 뻗는다. 인지와 의지 기능은 대뇌에서 시작하여 시상과 중뇌의 특정 영역에 이르는 회로를 통하여 일어난다. 대뇌의 신경 네트워크는 사회적 상호작용, 생각, 판단, 학습, 작업 기억, 그리고 인간의 경우 발화와 언어를 포함하는 복잡한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대뇌피질과 내부 구조
대뇌의 표면에는 많은 주름이 있는데 다른 부분보다 돌출된 부분을 이랑이라 하고 주름져 안으로 들어간 부분을 고랑(sulcus)이라 한다. 대뇌는 이랑과 고랑의 모양에 따라 이마엽, 관자엽, 마루엽, 뒤통수엽 등으로 나뉘며 각각의 부위에 따라 수행하는 기능이 다르다. 이러한 대뇌의 영역의 구분은 두개골의 조각들과 일대일 대응해 볼 수 있다.대뇌겉질(Cerebral cortex): 대뇌의 가장 표면에 있으며, 기억, 집중, 사고, 언어, 각성 및 의식 등의 중요 기능을 수행한다. 이마엽(Frontal lobe): 대뇌에서 가장 큰 옆으로 운동기능과 언어기능 등을 담당한다. 관자엽(Temporal lobe): 대뇌의 양쪽 옆면에 위치하며, 청각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마루엽(Parietal lobe): 대뇌의 윗부분에 위치하며, 감각 신호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기능이 있다. 뒤통수엽(Occipital lobe): 대뇌의 뒷면에 위치하는 옆으로 시각 기능에 관여하는 시각겉질(visual cortex)이 자리 잡고 있다. 뇌들보(Corpus 뒷부분 끝): 좌우 대뇌반구 사이에 위치해 두 반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대상회(아래에 있다. gyrus): 뇌들보의 앞과 중심 업소 잎 Para central. 설전부터(설 상엽 lobule) 옆쪽이고(아래쪽) 후두 측 두 회(호구) cation(Collateral sulcus): 반구의 투사섬유(Projection fiber)로 표면중앙 후두 측 두 회(Medial 호구 gyrus) 투사섬유(Projection fiber)로(Olfactory sulcus) cation fiber), 투사섬유(Projection fiber)로 분류된다.
대뇌의 기능
1.<운동>대뇌는 신체 운동 중 의식적이고 의지적인 운동을 담당한다. 일차 운동 피질과 기타 전두엽 운동 영역 운동에 대한 계획이 수립된다. 일차 운동 피질에 있는 상위 운동 뉴런은 축삭을 뇌줄기와 척수로 보내 하위 운동 뉴런과 시냅스를 형성하고, 하위 운동 뉴런은 근육에 자극을 준다. 대뇌 피질의 운동 영역이 손상되면 전체적으로 마비되기보다는 근력이 감소하고 운동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2.<감각 정보 처리> 일차 감각 피질은 연합 피질 영역과 연합하여 시각, 청각, 몸 감각, 미각, 후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각 감각을 합성하여 개체를 둘러싼 환경에 대한 지각을 만들어낸다. 사람 뇌의 체 성순 서적 배열 (Somatotopic organization)에 따라 모형으로 나타낸 호문쿨루스 (Homunculus)가 있다. 호문쿨루스는 각각의 피질 영역의 크기와 감각을 느낄 수 있는 능력에 따른 비율을 표현한 모형이다. 예를 들면 다리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다양한 재주를 갖고 있는 손은 펴질 영역의 더 큰 영역을 차지한다. 3.<후각> 이 부분의 본문은 후각입니다. 척추동물 대부분은 대뇌의 상당 부분을 냄새 감각을 담당하는 후각 망울이 차지하고, 그와 달리 사람은 전두엽 아래에 일부만을 차지한다. 다른 감각 수용체는 시상을 거쳐 각 감각 피질로 감각 정보를 보내지만, 후각 망울은 직접 축삭을 후각 피질로 보낸다. 후각 망울이 손상되면 냄새를 맡는 감각을 잃는다. 4.<언어 전달> 말하기와 언어 능력은 주로 대뇌 피질의 여러 부분에 걸쳐 있다. 발성 등 운동 기능은 전두엽의 브로카 영역(Broca's area)에서, 이해 등의 기능은 측두엽과 두정엽의 연결 부분인 베르니케 영역(Wernicke's area)이 주관한다. 두 영역은 활꼴 신경다발(arcuate fasciculus)이라는 백색질 조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브로카 영역이 손상되면 생각하고 있는 내용을 말로 표현하는 기능에 장애(표현언어상 실증)가 생기게 되고, 베르니케 영역이 손상되면 말은 유창하지만 들은 내용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기능에 장애(수용성 언어상 실증)가 생긴다. 5.<학습과 기억> 사실적이고 서술적인 기억은 해마와 중앙 측두엽에서 담당한다. 복잡한 운동 활동같이 내재적이고 과정적인 기억은 기저핵에서 담당한다. 단기 기억이나 작업 기억에는 해마와 연합 피질, 특히 등 쪽 가쪽 전전두피질이 관여한다. 30세에서 99세까지의 뇌 MRI 사진을 비교해 보면, 노화함에 따라 기억력과 관련된 해마에서의 퇴화가 뇌 회백질의 어느 부위보다 가장 빠르게 가속화되어 나타난다.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성주의와 지성주의에 개념과 차이 (0) | 2025.11.23 |
|---|---|
| 인간관계(개념, 사랑, 사랑의 종류) (1) | 2025.11.22 |
| 확증 편향적 사고(개념, 사례, 줄이는 방법) (0) | 2025.11.22 |
| 우리가 커피를 마시는 이유와 커피의 설명 (1) | 2025.11.21 |
| 심리학적 접근으로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 (0) | 2025.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