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

성격 장애의 종류(편집적, 조현성, 반 사회적 성격)

by 베베-핑 2025. 11. 4.

 

 

성격 장애의 모습

 

 

서론

뉴스에 보면 무서운 성격 장애의 사람들이 많이 나옵니다. 편집성 성격, 조현성 성격, 반사회적 성격에 대해 알고 미리 대처하여 위험 요인을 만들지 말자는 뜻에서 세 가지 성격에 대해 알아봅시다.

 

편집성 성격의 개념과 특징

 

편집이란 편향되게 고집부린다고 뜻으로 '마음 옆에 있다'라는 의미의 말입니다. 말 그대로 정신질환을 의미하지만, 타인을 믿지 못하고 의심하며 타인의 동기를 악의적으로 해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편집적인 성격은 충분한 근거 없이 타인이 자신을 기만하고 해를 끼친다고 믿습니다. 타인을 의심하기 때문에 상대방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하여 악의적인 동기가 없는지 수시로 살피고, 조금이라도 의심이 들면 이것을 자신의 믿음에 대한 근거로 삼습니다. 타인이 친절하게 잘해주면 이용하려는 목적이 아닌지 의심하고, 자신에 대한 정보가 자신에게 나쁘게 이용될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타인에게 비밀을 털어놓지 못합니다. 따라서 친구도 없어지며 외톨이로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편집성 성격장애는 일반인의 3퍼센트에서 나타나는데 더 많고 알코올중독자에서는 훨씬 증가한다고 합니다.

즉 타인을 쉽게 의심하고 불신함, 비판에 민감하고 방어적임, 자신의 실수를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함, 복수심이나 원한을 오래 품음, 타인에 대해 적대적임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성격의 원인으로는 어린 시절 거부나 학대 경험이 있어 자신의 불안을 타인에게 돌려 '저 사람이 나를 헤치려 하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조현성 성격의 개념과 특징

 

조현성이란 '외부 세계와 동떨어져 자신에게만 관심을 두는 성향'이라는 의미입니다. 조현성 성격은 일반인의 5퍼센트에서 나타나는데, 친밀한 관계에 대한 욕구가 없어 혼자 지내는 것을 좋아하며, 이성과의 성적인 접촉도 싫어합니다. 타인의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하며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분노나 기쁨 같은 강한 감정을 느끼지 않습니다. 간혹 자폐증과 감별하기 어려운데 사회적 관계가 더욱 소원이며 동일한 행동을 반복하는 특징으로 감별됩니다.

즉 조현성의 성격이란 사회적 관계나 형성에 흥미나 욕구가 없고, 타인의 칭찬과 비판에 무관심하며 감정 표현이 제한적입니다. 그리고 주로 혼자 활동하는 것을 선호하고 가까운 친구나 연인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성향의 원인은 어렸을 적 자기애적 단절관계에서 나오기도 하고 어린 시절의 정서적 결핍, 감정적 무시 경험이 원인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조현성 성격장애는 유전 요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사회적 성격의 개념과 특징

반사회적 성격은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거나 침해하는 행동을 지속적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성격은 일반인의 1~3퍼센트에서 나타나는데, 교도소에 수용된 범죄인을 대상으로 하면 70퍼센트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들은 거짓말과 속임수가 특징이고, 회생자에 대한 죄책감이 전혀 없으며, 오히려 희생자들이 바보같이 무능하기 때문에 그렇게 되어도 마땅하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즉 주요 특징으로 반복적인 법규 위반이나 비도덕적인 행동, 거짓말, 사기,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행동, 죄책감이나 양심의 가책이 없음, 타인의 감정이나 고통에 무감각, 공감 능력의 부족, 지속적인 무책임한 생활 태도가 특징입니다. 이 성격장애의 심리적으로 원인은 어린 시절에 폭력, 방임, 학대, 일관성 없는 훈육, 유전적인 충동성, 낮은 전두엽 활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편집성, 조현성, 반사회적 성격을 비교해 분석

 


위의 세 가지 성격은 모두 사회관계에서 어려움을 보이지만, 그 양상과 심리적 기제는 다릅니다. 편집적 성격은 타인을 의심하고 적대시함으로써 관계를 피하며, 조현성 성격은 감정적 단절로 관계 자체에 무관심합니다. 반면에 반사회적 성격은 타인을 이용하거나 해치면서도 죄책감을 느끼지 않습니다. 이렇게 세 유형의 성격장애는 행동적 표현이 서로 다른 심리 역동 때문에 나타남을 보여줍니다.

 

결론

 

세 가지 성격 장애의 공통점은 모두 사회적 부적응과 대인관계의 부적합에 있습니다. 우리도 사회생활을 하면서 이런 성향의 사람들을 간접적으로 겪었을 경우도 있습니다. 뉴스에서는 요즘 캄보디아 범죄 사건이라든지 끔찍한 뉴스가 보도되는데 성격 장애의 위험한 심리 기제를 잘 알고 미리 조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